본문 바로가기
경제마당

사이드카와 서킷브레이커 주식시장에 필요한 이유

by #$%#^%^$$*&()*(&&(*^% 2022. 3. 8.
반응형

사이드카와 서킷브레이커 주식시장에 필요한 이유

안녕하세요.

오늘은 주식 용어 중에 사이드카와 서킷브레이커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주식 시장 거래 시간에 대해서 알아보고 갈게요.

국내 주식시장의 거래시간은 평일 오전 9시부터 오후 3시 30분까지 열리고 있습니다. 공휴일과 주말, 주일은 다 휴장을 하고 있습니다. 원래는 3시까지였는데 2016년 8월부터 마감시간이 30분 더 늘어나 3시 30분으로 마감시간을 지금까지 유지하고 있습니다. 

 

 

 

 

 

 

상한가란?

전일 종가 기준으로 30% 오른 것을 상한가라고 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투자자를 보호하기 위해 주식의 가격 변동폭을 30%로 제한하고 있습니다. 미국, 유럽 등 나라에서는 가격제한폭이 없지만 우리나라는 오히려 주식투자 활성화와 원활한 자금흐름에 대해 기대하는 측면으로 제한을 둔것입니다. 

 

 

 

하한가란?

상한가와 반대로 전일 종가 30%이상 하락한 것을 말합니다. 상한가와 마찬가지로 30% 넘어서는 더 이상 하락할 수 없게 제한을 하고 있습니다. 

 

 

 

 

 

 

거래 중지

국내 주식시장에는 주가가 갑자기 큰 폭으로 급등락할 때 투자심리를 진정시키기 위해 매매를 일시적으로 지연시키거나 정지시키는 제도가 두 가지가 있는데 그게 바로 사이드카와 서킷브레이커라는 것입니다. 

 

 

 

 

 

사이드카란?

선물가격이 전일 종가 대비 5% 이상 상승 또는 하락 후 1분 이상 지속되면 매매가 5분간 정지됩니다. 

이는 선물시장이 급변할 경우 현물시장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 하기 위한 보호 장치라고 보면 됩니다. 

5분이 지나면 자동으로 해제되어 매매가 재개됩니다. 

1일 1회 발동할 수 있고 장마감 40분 전 이후에는 발동할 수 없습니다. 

 

 

 

 

 

 

서킷브레이커란?

주가가 갑자기 급등락하는 경우 시장에 미치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장치로서 매매를 일시 정지하는 주식거래 중단 제도라고 말합니다.  총 3단계로 나눠집니다. 

 

1단계

전일 종가 대비 8% 하락 할 경우 20분간 거래 정지됩니다. 이후 10분간 새로 호가를 접수하여 단일 가격으로 처리합니다.

 

2단계

전일 종가 대비 15% 하락 할 경우 20분간 거래 정지됩니다. 이후 1단계와 같은 경우로 처리됩니다.

 

3단계

전일 종가 대비 20% 하락 할 경우 20분간 거래 정지됩니다. 이럴 경우는 주식 거래가 종료됩니다. 

 

 

 

 

 

 

정적 변동성 완화 장치란?

지수 급등락에 따란 거래중지 제도가 사이드카와 서킷브레이커라면 정적 변동성 완화 장치는 개별종목에 대한 가격 안정화 장치 제도입니다. 보통 'VI'라고 칭합니다. 

10% 이상 상승하거나 하락하는 경우 2분간 단일가 매매를 진행하게 됩니다. 

 

이 모든 제도가 투자자들의 심리적인 안정과 투자자들의 보호 차원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반응형

댓글